
캄보디아에서 숨진 한국 대학생이 걷지도 못할 정도로 맞았다는 증언이 나왔다.
13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8월 9일 캄보디아 깜폿주 보코산 인근에서 범죄 조직에 감금됐다 구조된 A씨는 그 전날 사망한 대학생 B씨와 같은 장소에 감금돼 있었다.
A씨는 박 의원실 측에 "B씨가 너무 맞아서 걷지도, 숨도 못 쉬는 상태였다. 병원으로 이송 중 사망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안타깝게 목숨을 잃으신 고인의 명복을 빈다"며 "캄보디아 내 감금 피해 구조를 위한 정부 간 긴급 공조 체계와 상시 대응망 구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실은 캄보디아에서 고문과 감금을 당하며 범죄에 가담했던 한국인들을 구조하는 데 일조했다.
박 의원실은 이들 가족의 요청을 받은 뒤 외교부, 영사관 등과의 소통을 통해 이들을 구해냈다.
B씨는 지난 7월 17일 가족에게 "현지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캄보디아로 출국했다가 3주 뒤인 8월 8일 깜폿 보코산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B씨의 사망증명서에는 '고문으로 인한 극심한 통증'이 사망 원인으로 기재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경찰은 최근 캄보디아에서 잇달아 발생한 한국인 대상 범죄에 맞서 총력 대응을 추진한다.
경찰청은 2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캄보디아 경찰과 양자회담을 열고 '코리안 데스크' 설치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과 경찰관 파견 등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달 캄보디아 경찰에 코리안 데스크 설치를 공식 요청하는 서한을 보내고 협의를 진행해왔다. 현재 캄보디아 대사관 인력 15명 중 사건·사고를 담당하는 경찰은 3명으로, 밀려드는 범죄에 대응하기에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온 바 있다.
경찰은 캄보디아 내 범죄조직이 다국적 범죄자로 구성된 점을 고려해 국제 공조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올해 안에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과 아세안 10개국, 중국과 일본 등이 참여하는 '국제공조 협의체'를 만들 계획이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