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도서공항으로 건설 중인 경북 울릉공항이 공정률 70%를 넘어서며 윤곽을 드러냈지만 활주로 길이를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주민은 "안전을 위해 연장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국토교통부는 "현 설계로도 충분하다"고 맞서면서 갈등의 불씨가 이어지고 있다.
안전과 효율, 경제성을 모두 만족하는 절충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울릉의 하늘길 논쟁은 쉽게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6일 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울릉공항은 애초 50인승 소형항공기를 기준으로 길이 1천200m 활주로로 설계됐다. 그러나 2022년 항공기 좌석 수를 80석으로 확대하는 결정이 내려지면서 논란이 촉발됐다. 주민은 "항공기 크기가 커진 만큼 안전 여유 거리가 부족하다"며 활주로를 1천500m로 연장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 9월 감사원도 이 같은 우려에 힘을 실었다. 감사원은 "울릉도는 우천일수가 많고 착륙 시 제동거리가 길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활주로 안전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남한권 울릉군수도 "무안공항 사고 이후 군민이 활주로 안전성에 불안이 크다"며 "활주로 폭을 늘리지 않고 길이를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윤배 '안전한 울릉공항 추진위원회' 위원 역시 "울릉공항에 투입될 ATR-72 기종은 최적 조건에서도 이륙거리가 1천315m로, 현재 1천200m 설계로는 악천후 시 안전운항이 어렵다"고 주장했다. 울릉이 연간 강수일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고 기상이 험한 만큼 현실적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활주로 연장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활주로를 300m 연장하려면 수심 60~70m의 바다를 추가 매립해야 해 사업비가 최소 1조원 늘고, 공사 기간도 3년 이상 지연된다는 이유에서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에 따르면 활주로만 연장할 수 없고, 착륙대 폭도 현재 150m에서 280m로 확대해야 한다"며 "안전성·비용·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ATR-72 항공기의 실제 운영 여건을 근거로 1천200m로도 충분하다고 반박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1천315m는 최대 연료와 만재 탑승 등 극단적 조건을 가정한 수치"라며 "운항 단계에서는 항공사 사정에 따라 연료와 탑승 인원을 조정해 운항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 요론공항, 필리핀 부수앙가 공항 등 활주로가 1천200m인 섬 공항도 수십 년간 무사히 운영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지역과의 갈등 완화를 위해 지난 9월 주민 100여 명을 초청해 설명회를 열었고, 오는 12월에도 전문가와 주민이 함께하는 공개 토론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한편, 수요와 지속 가능성도 숙제다. 지난 9월 감사원은 최근 울릉공항의 여객 수요가 과다 산정됐다고 지적했다. 국토부 추정치(107만명)보다 49% 적은 55만명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맞춰 수요를 재검토해 터미널 규모와 시설 설계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