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석유화학 업계를 향해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전제로 한 '조건부' 금융지원 원칙을 분명히 했다. 기업이 먼저 강력한 사업재편 계획과 책임 이행을 행동으로 보이지 않으면, 금융권의 지원도 없다는 최후 통첩성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21일 5대 시중은행 및 정책금융기관 등과 함께 '석유화학 사업재편 금융권 간담회'를 개최해 금융지원원칙을 논의했다.
간담회를 주재한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석유화학산업은 포기할 수 없는 기간산업이지만, 더 이상 수술을 미룰 수 없는 처지가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과거 세계적 조선업체였던 스웨덴 코쿰스가 몰락한 사례를 언급하며 "'스웨덴 말뫼의 눈물'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과거 실적이나 성공 사례와 관계없이 적정 시기에 사업재편 등 시장에 대응하지 못할 경우, 언제든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
권 부위원장은 성공적인 사업재편의 원칙으로 ▷철저한 자구노력 ▷고통 분담 ▷신속한 실행을 제시했다. 그는 석유화학 기업들을 향해 "자기 뼈를 깎는 자구노력과 구체적이고 타당한 사업재편계획 등 원칙에 입각한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금융권을 향해서도 명확한 역할을 주문했다. 권 부위원장은 "금융권이 냉철한 관찰자이자 심판자, 그리고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며 기업의 자구노력을 엄중히 평가할 것을 당부했다.
동시에 사업재편 계획이 확정될 때까지 기존 여신을 회수하는, 소위 '비 올 때 우산 뺏는' 행동은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금융기관들은 '기업과 대주주의 철저한 자구노력 및 책임 이행'을 전제로 사업재편 계획의 타당성이 인정될 경우, 채권금융기관 공동 협약을 통해 지원하기로 공감대를 형성했다.
기업이 협약에 따라 금융지원을 신청하면 기존 여신은 원칙적으로 유지(stand-still)하되, 구체적인 수준은 기업과 채권단 간의 협의로 결정될 예정이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