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전체 68개 임차점포 중 대구 동촌점을 비롯해 임대료 조정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에 대해 순차적으로 폐점하기로 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13일 “지난 3월 회생절차 개시 후 5개월이 지난 시점에 경영환경이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자금 압박이 가중됐다”며 “이같은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 생존경영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어 “인가 전 M&A가 성사될 때까지 전면적인 자구책 시행에 나서기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자구책은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 순차적 폐점 △본사 임직원 무급휴직제도 시행 △임원 급여 일부 반납조치 등이다. 이번에 폐점이 결정된 점포는 대구 동촌점을 비롯해 서울 시흥점·가양점, 경기 일산점·안산고잔·원천점·화성동탄점, 인천 계산점, 충남 천안신방점, 대전 문화점, 전북 전주완산점, 부산 장림점·부산감만점, 울산북구점·울산남구점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폐점이 확정된 점포에 근무하는 근로자와 입점 업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관계자는 “점포를 분할 매각하지 않고 통매각하겠다고 발표한 약속을 뒤집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홈플러스의 브랜드 가치는 전국 각지에서 운영되는 매장에 있는데, 이들 매장을 포기한다는 것은 곧 홈플러스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폐점 점포 직원들과 면담을 거쳐 인근 점포로 근무지를 이동시키는 등 고용을 지속적으로 보장하고, 고용안정지원제도를 활용해 적응을 돕겠다”고 밝혔다. 폐점이 확정된 점포의 입점 자영업자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폐점시기가 잡히지 않아 답변이 어렵지만, 향후 시점이 결정되면 공식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홈플러스는 유동성 악화로 지난 3월부터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으며, 지난달 법원으로부터 회생계획 인가 전 M&A 허가를 받아 매각을 추진 중이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