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안동의 한 사립고교에서 지난 7월 4일 발생한 기간제 교사·학부모의 시험지 절도 미수 사건은 교육 현장의 신뢰를 크게 흔들었다.
경찰 조사에서 이 사건이 10여 차례 반복된 정황이 드러났고 피의자의 자녀가 입학 이후 3년간 전교 1등을 놓치지 않았던 사실까지 알려지자 파장은 더 커졌다.
경상북도의회 박채아 교육위원장(경산3, 국민의힘)은 보고를 받자마자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교육위원회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통상 비공개로 진행되는 회의를 교육청 관계자와 교육위원뿐 아니라 지역 학부모도 배석하는 공개회의로 전환, 모두가 지켜보는 가운데 신속하고 투명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이후 경북교육청·도의회는 약 14일간 입시 비리 제보 창구를 운영하며 발 빠르게 대응했다.
박 위원장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실추된 교육 현장의 신뢰를 반드시 회복해야 한다”며 도민의 의심과 불안을 해소하는 데 주력했다.
그의 현장 중심 행보는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 2월 대전 초등학생 살인사건 직후에는 즉시 지역 초등학교를 찾아 돌봄교실 운영 실태, 등하교 동선의 안전성, CCTV 관제 사각지대 여부 등을 직접 점검하고 안전망 재구축의 계기를 만들었다.
3월에는 국내 미등록 이주아동의 추방 위기 소식을 접하자, 가장 먼저 성명을 내고 “체류 자격이 없더라도 경북교육은 UN 아동권리협약에 따라 미등록 이주 아동의 교육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이 발언은 언론과 여론의 주목을 받았고, 국내 대부분 지역에서 법무부 비판과 미등록 이주 아동의 체류 자격 연장 요구가 확산돼 결국 법무부가 3년간 한시적 허용을 결정하는 계기가 됐다.
재선 광역의원인 박 위원장은 제12대 경북도의회에서도 교육위원회 소속을 유지하며 경북 교육 정책의 안정적 토대를 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채아 교육위원장은 “교육위원장으로서 경북 교육 정책이 흔들림 없이 추진될 수 있는 안정망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했다”며 “무엇보다 학생들이 안전하고 안정적인 교육환경에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책무라고 생각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학생 안전과 교육환경 개선에 무게를 두고 의정활동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