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이자 국민의힘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상주·문경)은 지난 8일 상주에 소재한 자동차 부품업체 ‘캐프’를 방문해 대미 관세 인상으로 인한 업계의 어려움을 들었다.
이 자리에서 캐프 관계자는 “대미 수출이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고 있지만 영업이익률이 15%를 넘는 기업은 거의 없다”며 “무관세에서 15%로 급상승한 이번 관세 조치는 기업 유지 자체를 위태롭게 하는 수준”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미국 부품 시장은 교체·수리용 부품이 중심이고 재고만 15억 대 이상을 보유한 세계 최대 규모의 시장”이라며 “관세 장벽은 곧 시장 접근성 약화”라고 지적했다.
임 위원장은 “기존 무관세 적용을 받던 부품에 15%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마진 2%를 남기고 수출하는 중소기업은 버티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며 “대기업은 어느 정도 견딜 수 있겠지만 중소·중견기업들은 도태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우려했다.
이어 “관세협상 타결로 피해가 막심함에도 불구하고 국민적 관심에서 소외된 중소 부품 기업들을 우선적으로 챙기겠다”며 “현장에서 수렴한 의견을 토대로 특별법 제정 등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경산)은 지난 8~9일 일지테크, 건화이앤지 등 경산지역 자동차부품업체를 찾아 애로사항을 집중 청취했다.
지난 6일에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을 방문해 업계의 고충과 향후 수출 전략,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조 의원은 자동차 산업이 완성차 기업뿐만 아니라 부품 협력업체 , 지역 중소기업 등 거대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만큼 자동차 부품업체들에도 각별한 관심과 대응을 촉구했다.
관세 협상 직후인 지난 1일 경산 내 자동차 부품산업 집적지와 경산상공회의소를 찾아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금융 지원 확대, 물류비 절감을 위한 고속도로 신설 등 다양한 건의사항을 들었다.
오는 13일에는 부품 업체 간담회, 다음달에는 물류비 절감을 위한 고속도로 신설 토론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조 의원은 “수많은 부품업체가 관세 협상의 여파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완성차 공장이 있는 울산과 부품 산업 집적지인 경북을 잇는 고속도로 개설을 통해 물류비를 절감하고 부품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품 업체들의 수출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수출입은행, 신용보증 등을 통한 지원도 강화돼야 한다”며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국내 자동차 산업이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 방안을 검토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로그아웃